본문 바로가기
고궁 과 명소 탐방.

남한산성 장경사를 찾아본다.

by 북한산78s 2013. 6. 30.
728x90
SMALL

2013년 6월 27일 남한 산성 장경사.

 

남한산성 둘레길을 산행하면서 들려보게되는 장경사는

작년 4월 30일에 남한산성을 찾을적에 들려보고 1년여만

에 다시찾는것이다.

http://blog.chosun.com/sa78pong

 

위 사진은 작년 4월 30일 4월 초파일을 대비해서 연등을 달아놓은 사진 입니다.

 

북한산성과 도성 을 지키던 산성으로 장경사는 남한산성

을 지을당시에 조선 인조16년(1638년)에 세워졌다

.

전국의 8도의 승려들을 모집하여서 산성을 짓는것을 도왔

는데 이때 승군들이 훈련을 받으면서 머물던 9개의절 중

지금가지 온전히 보존되여 있는 유일한 절이다.

 

절에 잇는건축물은 대웅전. 진남루. 칠성각. 대방.요사체 등

이 있다.

대웅전의 옆면에서 볼적에 여덞 팔자 모양인 팔자지붕으로 꾸몄다.

지붕처마를 받치기위해 장식하여 만든공포는 기둥위와 기둥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1983년 9월 19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다. 1624년(인조 2) 남한산성의 축성이 시작되자 인조 3년에 승도청(僧徒廳)을 두고 각성(覺性)을 도총섭(都摠攝)으로 삼아 전국 8도의 승군(僧軍)을 동원하여 사역을 돕게 하였다. 승군의 숙식을 위하여 전부터 있던 망월사(望月寺)·옥정사(玉井寺) 외에 1638년(인조 16) 개원사(開元寺)·한흥사(漢興寺)·국청사(國淸寺)·천주사(天柱寺)·동림사(東林寺)·남단사(南壇寺) 등 새로운 사찰을 창건하였는데 그때 함께 창건되어 오늘날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사찰이다.

축성 뒤에도 승군을 주둔시켜 수성(守城)에 필요한 승군의 훈련뿐 아니라 전국의 승군을 훈련시키는 한편 고종 때까지 250년 동안 전국에서 뽑은 270명의 승려들을 교체하며 항상 번승(番僧)을 상주입번(常駐立番)하게 하였다.

대웅전은 조선 후기 다포계 양식의 팔작지붕으로 된 3칸 동향(東向) 건물이며 요사채 3동과 진남루(鎭南樓)·칠성각·대방(大房) 등이 있다.

u

[네이버 지식백과] 장경사 [長慶寺] (두산백과)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