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궁 과 명소 탐방.

2012년 2월 23일 인천 전쟁 기념 박물관 2

by 북한산78s 2012. 2. 28.
728x90
SMALL

 

 

6. 25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민주. 공산이념의 대결이라는 냉전체제 속에서 소련과 중공의 지원을 받은 북한의 김일성이 대한민국을 공산화할 목적으로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기습남침을 자행함으로써 일어났다.

전쟁 초기 북한군은 우세한 군사력으로 개전3일 만에 수도 서울을 점령하고 두 달도 채 안되어 낙동강까지 남진하였다. 그러나 우리 국군은 군사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온 국민과 함께 총력전으로 공산 침략군에 대항하여 싸웠다. 유엔은 북한의 불법남침을 응징하기 위해 한국에 대한 군사원조안을 결의했고, 이에 따라 21개국이 유엔의 깃발아래 한국을 지원함으로써 우리는 공산침략군을 격퇴하고 조국과 자유를 수호할 수 있었다.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휴전협정이 조인됨으로써 3년 1개월간의 6. 25전쟁은 종전이 아닌 휴전의 상태로 남게 되었다.

북한은 광복 이후 군사력을 대대적으로 증강하는 한편 남침에 유리한 기회를 조성하기 위해 각종 폭동과 도발을 자행해 민심을 교란시키는 등 만행을 자행하여 왔다. 이후 전쟁 준비를 완료한 북한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소련제 T-34전차를 앞세우고 38도선을 넘어 기습남침을 감행하였다. 북한군의 기습남침에 맞서 국군은 육탄전으로 저항하였으나 3일만에 서울이 함락된다. 6월 27일 유엔의 신속한 결의에 따라 유엔군의 파견을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7월 3일 미군을 투입하였으나 북한군에 밀려 낙동강방어선까지 밀려가게 된다. 전력을 재정비 한국군과 미군은 낙동강을 최후의 저지선으로 정하고 결사적으로 방어하는 한편 반격을 위한 준비를 갖추었다.

9월 15일 맥아더 유엔군 사령관의 인천상륙작전이 감행되었고, 이 작전의 성공으로 적의 후방을 차단함으로써 낙동강전선에서는 반격을 취하는 등 전세를 역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승기를 잡은 국군과 유엔군은 9월 28일 서울을 탈환하였고, 10월 1일에는 38도선을 돌파한 후 계속 북진하여 10월 19일에는 평양을 탈환하고, 10월 26일에는 초산지역의 압록강까지 진격하였다.

또한 중동부 전선에서는 유엔군과 한국군 제3사단이 압록강 상류 혜산진까지 도달함으로써 통일을 눈앞에 두었으나 예기치 못한 중공군의 불법개입으로 국군과 유엔군은 작전상 후퇴를 하게 됨으로써 1951년 1월 4일에는 서울이 공산군의 치하에 들어가게 되었고, 다시 탈환하는 등 과정을 겪으면서 38도선 부근에서 밀고 밀리는 양상으로 치닫게 된다.

1951년 봄, 중공군의 춘계 대공세가 실패로 돌아가자 공산군 측은 소련을 통해 휴전을 제의해옴에 따라 1951년 7월 10일 개성에서 최초의 휴전회담이 열리면서 한쪽에서는 전쟁, 한쪽에서는 협상이라는 양상을 띠게 되었고, 전선은 휴전선 부근에서 머무른 채 전투는 2년여에 걸쳐 치열한 고지 쟁탈전으로 변하였다.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휴전협정이 조인됨으로써 3년 1개월간의 6. 25전쟁은 종식되었으며, 수많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피해를 남기고 종전이 아닌 휴전의 상태로 민족의 분단을 고착시키는 결과를 초래한 채 현재에 이르게 된다.

6. 25전쟁 연표

1945년

 

08월 15일

 

일본 항복, 한국 해방

1948년

 

0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

 

09월 09일

 

북한, 조선인민민주주의 공화국 발족

1950년

 

01월 12일

 

미 에치슨 국무장관 태평양방위선 관련연설
(한국을 미 극동방위선에서 제외한다고 선언)

 

06월 25일

 

북한국 38도선 불법남침

 

06월 2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한국 군사지원결의안 채택

 

06월 29일

 

맥아더장군 한강방어선 시찰

 

07월 05일

 

미 스미스 특수임무부대 북한국과 최초 교전

 

07월 20일

 

대전실함

 

08월 01일

 

국군 및 유엔군 낙동강 방어선 형성

 

08월 02일

 

인민국 낙동강 도하 8월 공세 개시

 

08월 18일

 

정부 대구에서 부산으로 이동

 

0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09월 28일

 

서울수복

 

10월 01일

 

국군 제3사단, 수도사단, 38도선 돌파

 

10월 19일

 

국군과 유엔군 평양 탈환

 

10월 25일

 

중공군, 제1차 공세 개시

 

10월 26일

 

국군 제6사단 압록강 초산 진입

 

11월 21일

 

미 제7해병연대 혜산진 점령

 

12월 24일

 

국군, 유엔군 원산, 흥남 철수작전

 

12월 31일

 

중공군 신정공세 개시

1951년

 

01월 04일

 

1.4후퇴 서울 실함

 

03월 15일

 

서울 재탈환

 

04월 12일

 

트루먼, 맥아더 원수 해임, 리지웨이장군 유엔군 사령관 임명

 

06월 23일

 

말리크 소련대표, 유엔에서 당사국간의 휴전협의 권유 연설

 

06월 30일

 

유엔군 리지웨이 사령관 공산군 사령관에 휴전회담 제의

 

07월 10일

 

휴전회담 개성에서 개막

1952년

 

01월 02일

 

휴전회담 포로 전원교환 합의

 

10월 06일

 

백마고지 전투

 

10월 14일

 

저격능선, 삼각고지 전투

1953년

 

04월 20일 ~ 05월 03일

 

상병포로 교환

 

06월 18일

 

이승만 대통령 반공포로 석방

 

07월 27일

 

휴전 협정조인

 

08월 05일

 

포로교환 시작

 

 북한군 남침기 (1950. 6월 - 9월)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의 기습남침으로 38도선을 돌파하여 국군의 육탄전에도 불구하고 3일만에 서울이 함락되고 낙동강까지 밀렸던 북한군의 남침기

 

 

중앙청앞의 북한탱크 행렬


유엔군 반격 및 북진기 (1950. 9월 - 11월)

 

맥아더 유엔군 사령관의 인천상륙작전이 감행되었고, 이 작전의 성공으로 한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전선에서부터 압록강 초산까지 진격하였던 유엔군의 반격 북진기

 

압록강변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를 부름


중공군 침공 및 재반격기(1950. 11월 - 51. 1월)

 

중공군의 개입과 더불어 단행된 공산군 공세를 유엔군이 평택 - 삼척 간을 연하는 선까지 후퇴 후, 재반격으로 38도선을 다시 회복하게 된 중공군의 침공 및 유엔군의 재반격기

 

 

압록강을 넘어 참전하는 중공군 334연대


전선교착 및 휴전 (1950. 1월 - 53. 7월)

 

중공군의 대공세의 실패로 공산군은 소련을 통해 휴전을 제의해 옴에 따라 휴전회담 진행과 더불어 쌍방이 38도선 부근에서 2년여에 걸쳐 공방전을 전개했던 교착기

 

정전협정문의 사인

 

 

 남,북한 병력 비교

 

육군

해군

공군

남한

96,140명

7,715명

1,897명

105,752명

북한

191,680명

4,700명

2,000명

198,380명


남,북한 장비 비교

병력

장비

남한

북한

육군

곡사포

91문

552문

대전차포

140문

550문

박격포

960문

1,728문

장갑차

27대

54대

탱크

-

 

전차

 

242대

해군

경비함

28척

30척

보조함

43척

80척

공군

연습기 등

연습기 등 22대

전투기 등 211대


남, 북한 경제지표 비교

 

남한

북한

인구

2019만명

975만명

국민총생산

7.1억불

3.9억불

식량생산량

345.5만톤

124.4만톤

수산물생산량

21.6만톤

27.3만톤

석탄생산량

112.9만톤

400.5만톤

발전시설용량

23.1만Kw

104.7만Kw

철도 총연장

4,423Km

3,815Km

도로 총연장

24,932Km

13,549Km

무역총액

1.4억불

5.1억불

 

 인명 피해 현황

     군인

 

한국군

유엔군

북한군

중공군

전사

137,899명

40,670명

520,000명

135,600명

부상

450,742명

104,280명

-

208,400명

실종, 포로

32,838명

9,931명

120,000명

25,600명

합계

621,479명

154,881명

640,000명

369,600명

                                                                                             ※ 북한군, 중공군은 추정치 임

      민간인

 

사망, 학살

부상

납치, 행방불명

남한

373,599명

229,625명

387,744명

북한

1,500,000명

-

-

                                                                                             ※ 북한은 추정치 임

 


물적 피해 현황

기관 및 시설

수량

기관 및 시설

수량

민간가옥

612,000호

항만시설

100개소

각급학교

(4,023개교)15,427동

철로

329Km

경찰서

(1,176개소)1,931동

교량

312Km

행정기관

2,700동

전선

61Km

의료기관

1,500동

공업시설

43%파괴

금융기관

1,100동

발전시설

41%파괴

종교단체

13,100동

가축

29,218,180두

생산업체

13,100동

탄광시설

50%

공공기관 및 단체

12,100동

 

 


 

국기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