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메라 사진 정보

[스크랩] 일출 일몰 사진찍기

by 북한산78s 2007. 1. 2.
728x90
SMALL

일출일몰 사진찍기

(설명 : 오케이카페 '체리부부"의 방장인 향적봉) 

 

 
일찍이 일출이나 일몰사진에 관하여 궁금해 하신분들께
무엇인가는 도움을 드리고 싶었지만 딱히 정답이 될만한
말씀을 드릴수가 없었습니다.
 
내일모래면 올 한해가 저무는 일몰과 신년일출을 보게됨에 따라
급조하여 일천하나마 몇자 적어보겠습니다.
 
어떻게 찍느냐? 는 물음에는 정확히 답을 못드리는 것은
날씨변화가 워낙이 심하여 노출조건을 어떻게 하는게 최선인지를
잘라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날씨예측로 본 전반적인 방법을 짚어보기로 합니다.  
 
 
 
첫번째-일출시각
 
일출시각을 확인하여 촬영을 할 장소에 최소한
30분전에는 도착하여야 합니다.
날씨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30분전부터 여명이 시작됩니다.
해가 오르기전에 빨간빛으로 시작되는 여명이 해가 뜬 후보다도
더 좋은 조건일수도 있으며 빛감이 아주 좋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리 도착하여 자리를 확보(?)할 필요도 있고
삼각대를 설치한다든지 옷을 껴입든지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렌즈
줌이 잘되는 망원보다는 광각의 렌즈를 먼저 끼우십시오.
특별히 해를 크게 담을 목적으로 한다면 모를까
해만 크게 담는 사진은 별 의미가 없다는게 소견입니다.
해만 크게 담을바에야 아파트 옥상이 최적이지요.
 
서있는 주변산능선을 포함하여 주위의 환경을 통째 담는게
좋다고 봅니다. 그러나, 광각이 너무 심하면 해가
너무 작아지는 단점이 있으니 적당해야 좋겠습니다.
 
강한 햇빛과 적당한 구름과 개스가 있으면 주변이 빨갛게 물들면 
 초광각도 무난하며 이 때가 가장 좋은 사진이 될 수 있습니다.
 
 
 
세번째-구도
 
앞서 요 아래서 언급하였듯이 대략 2/3구도로 하늘이 특별히
멋진상태가 아니라면 산능선을 기준으로 산 아래를 2/3로
하늘 부분을 1/3로 정도로 배치합니다.
아래가 좋으면 더 내리거나
하늘이 좋으면 약간 올립니다.
 
단, 이러한 배치를 할때,
하늘쪽이 밝고 산 아래가 어두워서 위아래가 극명한 명암차이를 보이면
화면의 중간부분에서 반셔터를 눌러 노출고정을 시킨다음
아래로 내려와서 완셔터를 누릅니다.
 
아니면, 이미 구도를 잡은 상태에서 한방찍어서 너무 환하여
하늘이 날아가 버렸다면 노출스텝을 -쪽으로 한단계씩 내려가며
한방씩을 더 찍어 봅니다.
 
 
 
 
네번째-노출설정
 
조리개를 고정하면 빛이 부족할때 셔터속도가 느려짐으로
그냥 풍경모드(산표시)로 설정해도 무방합니다.
 
삼각대가 있다면 조리개우선모드로 가급적 조이되
빛이 강하며 뷰파인더의 조리개수치가 깜박이면
조리개수치를 낮춰줍니다.(F정도로)
 
 
 
다섯번째-화이트밸런스

 

보통 오토-로 하여도 무방하지만 날씨가 맑다하여도

'구름'이나 '흐림'으로 설정하면 붉은 빛이 더 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단, 빛이 너무 강할때는 누런색감이 되니 주의를 해야 합니다.
또한, 텅스텐불빛이나,형광등,백열등-등으로 변경하여
각각 찍어서 즉시 결과물을 확인하고 맘에 드는 화밸로 고정합니다.
 
 
 
여섯번째-오토브라켓촬영
 
보통 셔터를 한번 누르면 한방 찍히는 원샷과는 달리
- 0 + 이렇게 노출스텝을 각각 달리하여 3방이 찍히는 기능이 있습니다.
한번 루르면 3방이 찍히는 이 기능은 왠만한 컴팩트형에도 있는 기능입니다.
 
이 때 주의 할 점은,
3방이 다 찍힐때까지 셔터를 누르고 있어야만 합니다.
 
만약, 다 안찍혔을때 셔터에서 손가락을 떼면
다음번 셔터를 누를때 나머지 컷이 찍힙니다.
노출보정을 하지않고 중요!
한 장면을 담을때는
오토브라켓-촬영을 권장합니다.
 
 
 
 
일곱번째-측광과 측거
 
측광은 전체측광-으로 측거는 오토-정도에 하면 무난합니다.
다만, 부분적으로 초점을 잡아보려면
렌즈초점을 '수동'으로 하고 초점링-을 왼손으로 돌려서
초점을 확인하여 잡아봅니다.
 
 
 
그 외-
 
여러컷을 할 때를 위하여 메모리는 여유있게 준비합니다.
특히 오토브라켓은 3장씩 찍히기에 빵빵한 메모리가 필요하고요.
구도를 잡을때, 빛이 너무 강하면 조금만 위아래로 움직여도
사진이 어둡거나(노출부족) 너무 밝게(노출오버) 나옵니다.
 
약간씩 움직여서 민감한 빛에 대응해야만 하는데,
이 때 쓸수있는 필터가 그라데이션-필터입니다.

필터의 반쪽은 끝으로 갈수록 진한색을 띄고 반쪽은 투명한 필터입니다

회색과 밤색 빨강 오렌지 파랑 등 다양한 색의 필터가 있습니다.
 
사각으로 된 필터를 쓰면 편리한데 원래는 케이스가 있어
끼워서 렌즈 앞에 장착을 합니다만, 필터를 완손으로 잡고
위치를 변경해가며 찍어도 됩니다.
위아래가 명암차이를 보이는 상태에서는 거의 필수적인 필터라고 하겠습니다.
 
 
 일몰도 거의 같은 방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첨언한다면, 해를 넣는 구도도 좋구요.
주변에 사람들이 있다면 그 사람들 뒤에 물러나서
해를 바라보는 사람을 넣는 실루엣 사진도 분위기를
나타내는데 좋다고 봅니다.
   
따뜻한 보온물병도 지참하고 장비도 잘 챙기시어
신년일출 잘 찍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 펜펜의 나홀로 인생
글쓴이 : pennpenn 원글보기
메모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