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궁 과 명소 탐방.

2011년 8월 13일 국립 중앙 박물관을 찾아서.

by 북한산78s 2011. 8. 15.
728x90
SMALL

 

2011년 8월 13일 국립중앙 박물관.

 145년만에 고국으로 귀환힌우리문화유산 외규장각 의궤전을보러 박물관을방문

 하였다.

 

 요즈음 7월 8월 날씨가 장맛비는끝났어도 국지성 호우가내려서 휴일에 즐겨하는

 산행도 힘들고 문득 박물관을 가보자하고 박물관을 들려본다.

 7월 19일부터 9월 18일까지 외규장각의궤전은 무료관람이다.

 

  요즈음 학생들의 방학기간이라 일찍관람을 들어갔는데도 일층에 전시된 외규장각

  을 보려고 너무도많은학생들의 대기줄이 서있어서 일단 포기하고 3층으로 올라간다.

  아직3층은 아래층으로 관람객이 몰려있기때문에 여유롭게 전시된 유물을 볼수가

  있었다.

 

  전시돤 문화재는 어느곳이나 후레쉬를 터트리면은 안되는것이 공통사항이다.

  지난번 유럽여행 4게국을 같을적에도 박물관내부에서 후레쉬 터트리는것은 금지

  하는것으로 되여있다.

 

  단지 오늘 우리박물관을 관람을 하면서보니 유럽박물관보다 실내가 무슨이유는

  있겠지만은 조도가 너무어두운것을 알수가있어서 후레쉬를 타트리지않고는 전시된

  문화재를 선명하게 카메라에 담을수가 없는것같다.

 

  카메라렌즈를 가지고있는L렌즈 24-70미리 2.8밝은렌즈로 촬영을 하여본다.

  사진이 선명하지못하여도 이해를 하여주시기바란다.

  박물관 문화재 사진은 4 회에거쳐서 올려보기로한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개막 이후 27일간 뜨거운 반응
20代에서 80代까지 "민족 수난사 중의 하나, 내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다"
비인기 종목인 책 전시 열풍… 2009년 몽유도원도 이후 처음

13일 오후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특별전시실 앞에서 시작된 줄은 복도를 가로질러 상설전시관 입구에서 한 번 꺾여 두 줄로 길게 이어졌다.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특별전을 보려는 인파였다. 이날 특별전 관람객은 6101명, 상설전시관 전체 관람객은 3만1593명이었다. '외규장각 의궤' 특별전은 지난달 19일 개막 직후부터 관람객이 몰려들기 시작해 14일엔 7174명으로 최대 관람객 수를 찍었다. 이날까지 10만912명이 의궤를 감상해 개막 27일 만에 10만명을 돌파했다.

"몽유도원도 이후 이런 열풍 처음"

전시장을 찾은 사람들의 나이도 다양했다. "경북 포항에서 의궤를 보러 올라왔다"는 40대, "군 입대를 닷새 앞두고 소중한 우리 역사를 눈으로 확인하러 왔다"는 20대도 있었다. 방학을 맞은 아이들을 데리고 '역사 교육'하러 온 부모, 휠체어를 타고 둘러보는 70~80대, 팔짱을 끼고 온 젊은 커플…. 전시장 곳곳에서 미니 강의가 펼쳐졌다. "엄마, 이게 왕이 보던 거야?" 하고 아이가 물으면 젊은 엄마가 "응, 그건 색이 더 선명하고 붓으로 일일이 형태를 그렸으니까 '어람용(御覽用)'이야" 하고 답했다. 관람객들은 대형 영상물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펼쳐진 의궤 속 그림을 휴대전화 카메라로 찍었다.

13일 오후 국립중앙박물관‘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특별전 전시장을 가득 메운 관람객들이 프랑스에서 돌아온 조선왕실 의궤들을 살펴보고 있다. /정경열 기자 krchung@chosun.com

박물관 관계자들은 "2009년 '몽유도원도'를 보려고 평균 4~5시간씩 줄 섰던 이후 전시실 밖으로 줄이 늘어서는 건 처음"이라며 "'몽유도원도'는 일본에서 빌려와 단 9일 동안만 전시했기 때문에 확 몰렸지만 두 달간 이어지는 전시에 계속 북적대는 것은 의외"라고 입을 모았다. 몽유도원도는 9일 동안 6만1123명이 몰려 하루 평균 6800명이 관람했고, 이번 외규장각 의궤는 하루 평균 3700명, 8월 이후엔 연일 5000명을 넘고 있다.

"프랑스가 빼앗아간 우리 영혼을 찾아왔으니"

'몽유도원도'나 이번 전시나 둘 다 무료 전시. 그러나 이번 현상이 이례적인 것은 박물관에서 하는 '책 전시'는 그동안 비인기 종목이었기 때문이다. 장성욱 학예연구사는 "감상 위주의 회화나 조각과 달리 한눈에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이해하기도 쉽지 않아 책 전시장은 대개 썰렁했다"고 했다. 그런데도 왜 이렇게 몰려드는 걸까. 전시장에서 만난 관람객들은 "프랑스가 빼앗아간 우리 영혼을 찾아왔으니 꼭 봐야 할 것 같았다"고 했다.

"다시 찾은 우리 문화재 보자" 외규장각 의궤 전시, 몰려드는 관객들… 13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복도.‘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를 보려는 인파가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이 전시는 개막 27일 만에 관람객 10만명을 돌파했다. /정경열 기자 krchung@chosun.com

부인과 함께 온 지대식(62)씨는 "우리 민족 수난사 중 하나인데 생생한 조선왕조 기록물을 되찾아왔다는 의미를 내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다"며 "의궤들을 훑어보니 조선의 역사를 생생하게 들여다보는 느낌"이라고 했다. 권오상(29)씨는 "우리 문화재가 외국에서 방치돼 있었다는 점이 안타깝지만 보관 상태가 좋아서 놀랐다"며 "우리나라에 계속 있었어도 이렇게 잘 남아 있을까"라고 했다. "한 번 보고 이해가 잘 안 돼 집에 가서 공부한 다음 2~3번 반복해 봤다"는 이도 있었다.

안휘준 전 문화재위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은 "인상파 회화 같은 서양미술전과 달리 문화재 전시에서 이런 뜨거운 반응은 이례적 현상"이라며 "해외로 반출됐다 돌아온 문화재에 대한 국민들 관심이 그만큼 폭발적인 것이고, 최근 독도 문제나 동해 표기 문제 등으로 민족 감정이 자극받은 것도 '의무 관람'을 부추긴 것 같다"고 해석했다.

"좀 더 친절하게 전시했으면"

전시 내용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의견도 많았다. 정우식(62)씨는 "의궤의 의미를 6부로 나눠 소개하고 있지만 전시만 봐서는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며 "한 쪽씩만 펼쳐놓아서 넘겨볼 수도 없으니 부스별로 설명을 더 넣거나 시각적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LIST